Docker는 AUFS를 사용한다.
- Ubuntu 에서는 AUFS 사용
- Centos LVM 사용
- 기존에 사용하던 Partition을 늘릴 수는 없다.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.
- 이를 위해서는 Backup을 해놓고 늘리고, 복구하는 방법밖에 없다.
- LVM을 쓰는 주된 목적은 Volume이라는 것을 사용(Partition).
- LVM은 Volume을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.
-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Volume을 묶어주는 역할도 한다
- 가장 큰 특직은 동적 할당, 논리적 결합이다.
- Physical Volume(PV) : 물리적 볼륨
. 물리적으로 떨어져 볼륨이다.
#pvs
- Volume Group(VG):
#vgs
- Logical Volume(LV)
#lvs
- 확장
. -r 옵션은 ...파일 시스템도 같이 늘어나는 옵션이다.
. -r 옵션을 해주면 vl 만 늘어나고 df -h 확인했을때 df -h 는 안늘어난다.
.
- resize2fs /dev/vg0/lv0 와 같이 파일 시스템도 늘어나라고 해주어야 한다. (ext4에서 사용한다.)
- xfs_frowfs /dev/vg0/lv0 와 같이 파일 시스템도 늘려주어야 한다.(xfs에서 사용)
즉, 파일 시스템마다 늘리는 방법이 틀리다. 따라서 -r 옵션을 사용하면 이런 불편을 해소 할 수 있다.
#blkid
- Docker에서는 LVM을 사용하는데
. loop LVM, direct LVM 두가지가 있다.
. 기본은 loop LVM을 사용한다.
'디지털 양피지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 Dcoker 아키텍쳐와 설치 (0) | 2017.06.26 |
---|---|
2. Docker 소개 (0) | 2017.06.26 |
1.Linux for Docker - SELinux (0) | 2017.06.23 |
1.Linux for Docker - Firewalld (0) | 2017.06.23 |
1. Linux for Docker - 네트워크 설정 (0) | 2017.06.23 |